최대 5,000만원 받을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모든것(Q&A5가지)

우리 청년분들 아직도 적금에 월급의 일정금액을 꼬박꼬박 납부하고 계신가요? 얼마안되는 이자에 넣고있지는 않으신가요? 이번에 국가에서 청년들을 위한 정책으로 실시하는 이방법으로 하시게되면 최대 5,000만원까지 받을수 있다는거 알고계셨나요? 그 방법 지금부터 알려드리겠습니다~

1.청년도약계좌?

만19세이상 34세 이하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금융상품으로써 납입금액에 비례하여 일정비율의 부분을 정부가 기여금을 지원하는 형태로,계좌에서 발생한 이자소득등에 대하여서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는 상품입니다.

청년도약계좌

2.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및 조건

대상:만19~34세 청년으로 개인소득 기준과 가구소득기준을 모두 충족해야만 가입가능
소득조건:총급여6,000만원 이하+가구소득중위소득180%이하:정부기여금 지급+비과세
우대금리조건:개인소득 총2,400만원 이하인경우 소득+우대금리 적용
내용:5년간 매달 70만원 한도 정기적금하면 월 최대 24,000원 정부지원으로 5년간 총 5천만원 만들기

2021년 기준 개인소득내역이 확인(홈택스에서 확인가능)되지 않으면 가입 불가 직전3개년 금융소득종학과세 대상자 가입불가

청년도약계좌 모든것

3.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은 6월15일부터 입니다. 아래사진을 보시면 가입날짜가 나와있습니다.
출시은행은 NH농협,신한,우리,KB국민,하나,SC,기업,부산,광주,전북,경남,대구은행이 취급기관으로 선정되었고 12일에 최종금리를 공시합니다.

청년도약계좌

4.청년도약계좌 금리

-총급여 2,400만원이하 납입액40만원까지 기여금6.0%(2만4,000원)
-총급여 2,400만~3,600만원 이하 납입액 50만원까지 기여금4.6%(2만3,000원)
-총급여 3,600만~4,800만원 이하 납입액 60만원까지 기여금3.7%(2만2,000원)
-총급여 4,800만~6,000만원 이하 납입액 70만원까지 기여금3.0%(2만1000원)

청년도약계좌

5.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중복가입 여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청년도약계좌는 청년희망적금과는 중복가입이 안됩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중복해서 가능합니다.청년들이 최대한 자산을 지원받을수 있도록 금융사품인 청년도약계좌(금융위원회)와 고용지원의 목적인 청년내일 채움공제(고용부)와도 중복가입이 허용됩니다.다만 지원방식,목적,지원대상등이 유사한 지방자치 자산형성 지원사업은 중복참여가 불가능한걸로 나와있습니다.지금 청년희망적금에 납입하고 계시는분들은 도중에 해지하고 갈아타시는게 유리한지 계속 청년희망적금에 납입하는게 유리한지는 잘알아보시고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6.청년도약계좌 Q&A

1.작년소득확인이 어려운경우 21소득으로 가입가능?
22년소득은 23년 7~8월에 확정이됩니다. 그이전까지 21년소득을 활용하여 가입가능합니다.
따라서 6~7월에 21년 소득이 없으면 가입이 불가능하므로 22년부터 소득이 생기셨다면 8월이후 가입신청하셔야됩니다.

2.중도해지가능?
중도해지가능합니다. 다만 중도해지시 정부 기여금,비과세 혜택이 모두 불가합니다.
다만 사망,퇴직,이민,사업장폐업등 특별한 사유가 있을시는 제외됩니다

3.가입후 소득과 관계없이 계속 유지 지원가능한가요?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짜리 상품이므로 1년주기로 개인소득을 확인을통해 유지심사를 하고 있습니다.
유지심사 결과 개인소득이 늘어나서 6,000만원 초과가 되면 다음유지심사시점까지 정부기여금지급이 중단됩니다. 다시 6,000만원 이하인경우는 재지급을 합니다.